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나라장터 전기공사 실적증명서 작성하는 방법 (단독/공동수급)

실적 관련 업무

by 유낙찰 2024. 1. 9. 10:19

본문

1월은 실적신고를 위해 작년 실적증명서를 작성하느라 바쁜 달이다.

처음엔 발주처, 공사종류마다 방법이 조금씩 다르고, 용어가 어려워서 헤매게 되지만,

한번 익혀두면 어렵지 않다.

 

 

사전에 준비할 서류

-공사 최종계약서

-준공 내역서 (준공금액이 들어간 파일)

-전자세금계산서 (발급 방법-이전 게시글 참조)

 

 

 

1. [나라장터] 로그인 - [공통] - [계약실적증명] - [계약실적검색]

 

 

 

 

이 페이지에서 <계약일자> 설정 후,

실적증명서 작성을 원하는 공사의 <계약번호> 클릭.

 

 

 

2. <00년도 전기공사 실적증명서> 선택 후, 오른쪽 <협회서식 실적증명서 작성> 버튼 클릭.

 

 

 

 

 

3. 전기공사 실적증명서 작성방법

 

 

맨 위 연도는 현재 연도가 아니라, 공사 실적 연도 기준이다.

예를 들어, 2024년에 작년 실적신고를 하려면 '2023'년도 전기공사 실적증명서로 작성하는 게 옳다.

 

<공사종류>: 일반적인 전기공사는 '건축물전기설비'

<공사현장소재지>: 공사계약서에 나와 있다. 없다면 공사이름을 보고 네이버에 주소를 검색해서 찾는다.

ex) 00아파트 전기공사 -> 00아파트 주소 검색

그래도 공사현장이 모호한 경우, 현장사무실 주소를 적는다.

 

<발주자>: 공사계약서 참고.

 

<계약일>: 최초! 처음 계약일로 작성.

변경계약서가 있을 경우, 최종계약서 기준 계약일로 자동설정되어 있을 것이다.

최초로 계약일로 바꿔 준다.

착공일은 모든 계약서에 동일한 날짜일 것이다.

준공일은 최종계약서 기준 준공일을 의미한다.

 

<계약방법>: 전기넷 등 해당 공사의 입찰공고문에 계약방법이 적혀 있다.

 

<도급종류>: 공식적으로 하도급한 게 없다면 보통 '1.원도급'이다.

 

<총 도급계약액>: 준공금액이다. 최종계약금액과 준공금액이 다른 경우가 있으니 준공내역을 잘 확인해야 한다.

내년에 계속되는 공사의 경우, 당해 연도 가장 마지막 변경 계약서의 금액이다.

*단위가 천원이므로 천단위 밑은 절사. ex) 72,859,652 -> 72,859

*공동수급의 경우, (총공사계약액 X 본인 회사 공사 비율)

 

나머지 <실적금액>: 나라장터 전기공사 실적증명서는 회색 칸은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다.

흰 칸만 작성하면 된다.

공사마다 흰 칸의 개수가 다르다. 계속공사의 경우 미기성액 등이 흰 칸이 된다.

그러면 홈택스에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(이전 게시물 참조) 금액을 넣는다.

 

 

 

 

발급기관 담당자 검색 (계약서에 적힌 담당자 등록), 첨부문서 추가. (계약서, 준공서류, 세금계산서)

[저장] - [송신]

관련글 더보기